2026 최저임금 실수령액 시급 월급 세후 계산

“2026년 최저임금, 도대체 얼마가 될까?” 노동계와 사용자 측의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가운데, 시급 11,500원 요구안이 나오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6년 최저임금안과 실제 월급 및 실질 체감 금액을 자세하게 계산해봤습니다.



1. 2026년 최저임금 논의 현황

2025년 시급 10,030원에서, 노동계는 14.7% 인상된 11,500원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반면 사용자 측은 1차: 시급 10,060원(0.3%↑) 2차: 시급 10,070원(0.4%↑) 안을 제시하며 논쟁 중입니다 



2. 시급 기반 월급과 실수령액 예시

통상 하루 8시간, 월 209시간 기준으로 계산하면:

  • 시급 10,030원 → 월급 약 2,096,270원
  • 시급 11,500원 → 월급 약 2,403,500원

💡 이 경우, 월 급여가 약 307,230원늘어나는 효과가 있습니다.



3. 실질 체감 임금이 중요한 이유

명목상 임금이 올라도,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노동자의 실질 구매력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노동계는 “실질임금이 전년 대비 –0.98% 하락했다”며 체감 인상률을 강조합니다 

👉 따라서, 시급 11,500원이 실제로 체감될지 판단하려면 물가 상승률과 세금·보험료 공제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4. 계산 예시: 실질 임금 인상 분석

예를 들어, 2025년 물가상승률이 5%, 근로소득세 등 공제율이 10%라고 가정하면:

  • 명목 인상액: 307,230원
  • 물가 반영 실질 증감: 307,230 – (2,096,270 × 0.05) ≈ 202,104원
  • 공제 후 실제 체감: 202,104 × 0.9 ≈ 181,894원

즉, 월 약 18만원 정도의 실질 급여 증가가 예상됩니다. 물가는 매년 변화하기 때문에, 개인별 공제비율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5. 마무리: 나에게 주는 의미는?

  • 시급 11,500원 시 월급이 200만원 중반대 → 240만원대로 상승
  • 실질 체감 임금은 월 10만~20만원 수준 증가로 분석됨
  • 물가·공제율 따라 실제 체감액은 달라집니다

2026년 최저임금 인상 논의는 단순한 시급 수치가 아니라, 우리가 매달 실제 지갑에서 느끼는 생활비에 직결됩니다. 노동계와 사용자 입장 사이에서 어떤 합의가 나올지, 최종 결정 발표 전까지 계속 살펴봐야겠습니다!



최저임금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