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5세 이상 통신비 감면 신청 방법

“요즘 물가도 비싸고, 휴대폰 요금도 부담이네요.”
이런 걱정, 혹시 하고 계시진 않나요?
2025년에도 정부는 만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통신비 감면 혜택을 제공합니다.
아직 신청하지 않으셨다면, 지금이 바로 그 기회입니다.
이 글에서는 신청 자격, 신청 방, 주의사항까지 하나씩 쉽게 알려드릴게요.

부모님께도 꼭 알려주세요!





1.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지원 대상 및 감면 혜택)

통신비 감면은 ‘보편적 서비스’로 분류되어 국가에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다음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 만 65세 이상인 어르신
  • 기초연금 수급자
  •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단, 나이가 65세 이상이더라도 기초연금을 받지 않으면 일부 혜택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엔 별도로 “복지 감면” 항목으로 신청해야 합니다.

2025년 기준 감면 금액

  • 기본료 또는 데이터 요금에서 월 최대 13,200원까지 감면
  • 알뜰폰(MVNO) 이용자도 일부 통신사에서 감면 가능
  • SKT, KT, LG U+ 등 모든 주요 통신사에서 신청 가능

2. 어떻게 신청하나요? (신청 방법 및 절차)

신청은 온라인, 방문, 전화 모두 가능해서 편한 방법으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① 온라인 신청

  • 복지로(www.bokjiro.go.kr) 또는
  • 각 통신사 홈페이지 (예: SKT의 T월드, KT의 마이KT 등)
  •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가 필요할 수 있음

② 주민센터 방문

  • 신분증(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을 지참
  • "통신비 감면 신청하러 왔습니다"라고 말하면 안내해줍니다

③ 통신사 고객센터 전화

  • SKT: 114
  • KT: 100
  • LG U+: 101

고객센터에 전화 후 "복지 감면 대상자인데 통신비 감면 신청하고 싶습니다"라고 말하면 됩니다.

💡 : 기초연금을 받고 있다면 따로 서류 없이도 통신사에서 자동 조회 가능해 더 간편합니다.



3. 꼭 알아야 할 유의사항

  • 감면은 신청일 기준으로 적용되며, 소급 적용되지 않습니다.
    → 늦게 신청하면 그동안의 혜택은 받을 수 없습니다.
  • 통신사별 감면 내역이 다를 수 있음
    → 특히 알뜰폰 사용자는 본인 통신사 고객센터에 꼭 확인하세요.
  • 이미 감면을 받고 있어도 변경 또는 갱신이 필요할 수 있음
    → 1~2년에 한 번씩 자격 확인이 진행됩니다.
  • 집 전화 또는 인터넷 요금 감면도 별도로 신청 가능
    → 휴대폰만이 아니라 전체 통신비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2025년 65세 이상 어르신을 위한 통신비 감면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부모님이나 주변 어르신 중 아직 신청하지 않으신 분이 있다면 꼭 알려드려서, 매달 적지 않은 통신비를 절약하시길 바랍니다.
모두가 더 가볍고 따뜻한 2025년을 보낼 수 있도록, 작은 정보가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다음 이전